Java Thread 개념

정찬's avatar
Sep 17, 2024
Java Thread 개념
 

Series

  1. Thread 개념
  1. Java진영에서 Thread 사용하는 방법
  1. Spring에서 Multi Thread를 처리하는 방법

Thread란?

스레드란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실행 단위로, 경량화 프로세스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한 프로세스 내에서 동작하는 여러 실행 흐름으로 프로세스 내의 주소 공간이나 자원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스레드는 독립적인 작업을 수행함으로 각자의 stack과 pc register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쓰레드는 CPU를 할당받았다가 스케쥴러에 의해 실행을 멈췄다가 다시 실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명령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어디까지 실행됐는지 위치를 저장하는 용도로 PC Register를 사용합니다.
 

Main Thread

 
  • Java 프로그래밍을 실행하면 하나의 스레드가 즉시 실행되기 시작합니다. 즉 시작과 동시에 Thread가 기반에 실행됩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의 Main Thread라고 합니다.
  • 다른 자식 스레드가 생성되는 스레드입니다.
  • 다양한 종류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실행을 완료하는 마지막 스레드입니다.
  • Main Thread는 프로그램 시작될 때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 생성된 쓰레드를 제어하기 위해서 current thread() 메서 들을 호출하면 해당 Thread의 참조를 얻을수 있습니다.
 

Single Thread

 
  • Main 스레드에서 작업 진행,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됨
  •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오직 하나의 스레드로만 진행
  • 단일 레지스터와 스택으로 구성
  • Context Switching 작업을 요구하지 않음
  • 동시성 제어에 대한 처리를 신경 쓰지 않아도 됨
 

Single Thread 장점

  • 자원 접근에 대한 동기화를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 여러 개의 스레드가 프로세스의 자원을 공유하면, 각 스레드가 자원 접근에 대해서 접근제어를 해야 합니다. ** 모든 스레드가 자원에 동시에 접근하거나, 동일한 작업을 실행하면 Exception이 발생합니다. ** Single Thread 환경에서는 동기화에 대해서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 Context switch(문맥 교환) 작업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 현재 진행하고 있는 Task(Process,Thread)의 상태를 저장하고 다음 진행할 Task의 상태 값을 읽어 적용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 Multi-Thread 환경에서는 Context switching을 통해서 실시간처럼 보이게 처리합니다. ** Single Thread에서는 Context switching 필요하지 않음으로 Context switching에 대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단순히 계산 작업이라면 Multi-Thread보다 Single-Thread 기반으로 개발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 간단한 계산이라면 Multi-thread 환경에서 작업을 하면 context-switching 발생으로 Single-thread에서 오히려 시간이 더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개발 난이도가 쉽고, CPU, Memory를 적게 사용합니다. ( 사용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Single Thread 단점

  • Multi CPU를 활용하지 못합니다.
  • 연산량이 많은 작업의 경우 그 작업이 완료되어야 다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싱글 스레드는 Error 처리를 못 하는 경우 중지됩니다.
 

Multi Thread

 
  • 프로그램 내에서 두 개 이상의 동작을 동시에 실행 ** CPU의 활동을 극대화 ** 두 개가 동작을 동시에 실행
  • 하나의 프로세스를 다수의 실행 단위로 구분하여 자원을 공유 ** 자원의 생성과 관리의 중복성 최소화 ** 수행 능력 향상

Multi Thread 장점

응답성
  • 프로그램 일부분이 중단이 되거나 긴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프로그램 수행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사용자에 대한 응답성이 증가합니다.
  • Multi Thread 환경에서는 에러 발생 시 새로운 Thread를 생성해서 error를 극복합니다.
경제성
  • 프로세스 내 자원들과 메모리를 공유하기 때문에 메모리 자원과 시스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스레드 간 통신에서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프로세스 간의 Context switching과는 달리 스레드 간의 context switching은 캐시 메모리를 비울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더 빠르게 동작 합니다.
  • 멀티프로세서의 활용 ** Multi Core CPU 환경에서는 각각의 스레드가 다른 프로세서에서 병렬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병렬성이 증가합니다.
 
 

Multi Thread 단점

  • Context switching, 동기화 등의 이유로 싱글 코어 멀티 스레딩은 스레드 생성 시간이 오히려 오버헤드로 작용해 단일 스레드보다 느릴 수 있습니다.
  • 공유자원을 서로 다른 스레드가 동시에 접근하는 경우, 스레드 내에서는 Heep 영역을 공유하기 때문에 다른 스레드에서 사용 중인 변수나 자료구조에 접근하여 엉뚱한 값을 읽어오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 그래서 반드시 동기화 처리를 해야 합니다. 즉 동기화 비용이 발생합니다.
  • 멀티 스레드 환경은 개발 난도가 높습니다. 또한 자원 사용량도 많습니다.
 

Thread Life Cycle

 
notion image

Thread 상태

 

New

  • 스레드가 실행 준비를 완료한 상태(Thread 객체가 생성된 상태)로, start() 메소드를 호출하기 전 상태

Runnable

  • start()가 호출되어 실행될 수 있는 상태
  • 스레드 스케줄링에 따라 CPU에서 실행될 기회를 기다리는 상태

Wait

  • 다른 스레드가 통지할 때까지 기다리는 상태

Timed_wait

  • 정해진 시간 동안 기다리는 상태
  • Thread.sleep(1000) <- 1초 대기

Blocked

  • 사용하고자 하는 객체의 잠금(lock)이 풀릴 때까지 대기하는 상태

Terminated

  • 실행이 종료된 상태
 

Thread 상태변경 method

 
  • interrupt()
    • 스레드에서 InterruptedException 예외를 발생시켜 예외 처리 코드에서 실행 대기 상태로 가거나 종료 상태로 가도록 함
  • notify()
    • Block 상태에서 wait() 메소드에 의해 Wait 상태에 있는 스레드를 Runnable 상태로 만듦
  • sleep()
    • 주어진 시간 동안 스레드를 Timed_wait 상태로 만듦. 주어진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Runnable 상태로 바뀜
  • join()
    • join()을 사용하면 메인 스레드가 다른 스레드들이 종료될 때까지 기다리게 되어, 스레드 간의 순서를 조절하고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 wait()
    • Block에서 스레드를 Wait 상태로 만듦. 파라미터로 주어진 시간이 지나면 Runnable 상태가 됨. 시간이 주어지지 않은 경우 notify(), notifyAll() 메소드에 의해 Runnable 상태로 변경됩니다.
  • yeild()
    • 실행 중에 우선순위가 동일하거나 높은 순위의 스레드를 산출하고 Wait 상태로 변경합니다
 
멀티 쓰레드 환경에서는 자원의 일관성을 위해 동기화하여 원자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만약 코드 내 동기화 로직이 잘못 설계되면 교착상태에 빠질 수 있습니다.
 

동기화 매커니즘

 
동기화 매커니즘은 멀티 쓰레드 환경에서 공유 자원에 대한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Java에서는 주로 synchronized 키워드, volatile 키워드, Lock 인터페이스, 그리고 Atomic 클래스 등을 통해 동기화를 구현합니다. 이러한 메커니즘들은 각각 특정 상황에 적합하며, 적절히 사용하면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고 race condition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Synchronized

 
Synchronized 키워드는 가장 기본적인 동기화 방법입니다.
객체 또는 메서드에 대한 모니터 락을 얻어 쓰레드가 자원에 동시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 method 동기화
    • 메서드 단위에서 하나의 스레드만 접근할 수 있게 합니다.
      public class Counter { private int count = 0; public synchronized void increment() { count++; } public synchronized int getCount() { return count; } }
 
  • 블록 동기화
    • public class Counter { private int count = 0; private final Object lock = new Object(); public void increment() { synchronized(lock) { count++; } } public int getCount() { synchronized(lock) { return count; } } }
 

volatile

 
volatile는 변수에 대한 가시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여러 스레드가 변수를 읽고 쓸 때, 각 스레드는 메인 메모리에서 직접 값을 읽거나 쓰도록 보장합니다.
 
public class VolatileExample { private volatile boolean flag = true; public void stop() { flag = false; // 다른 스레드에 즉시 반영됨 } public void run() { while (flag) { // 무한 루프 } } }
 
volatile변수의 일관성을 유지하지만, 원자성(Atomicity)을 보장하지 않으므로 복잡한 상태 관리에는 부적합합니다.
 

Lock 인터페이스 (ReentrantLock)

 
Lock은 보다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동기화 메커니즘입니다.
ReentrantLock은 synchronized 블록과 유사하지만, 추가 기능을 제공합니다.
  • 공정설 설정 : 스레드가 차례대로 락을 획득하게 할 수 있습니다.
  • tryLock(): 잠금을 시도하고, 잠금을 획득하지 못하면 바로 실패할 수 있습니다.
  • lockInterruptibly(): 락을 기다리는 동안 인터럽트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import java.util.concurrent.locks.Lock; import java.util.concurrent.locks.ReentrantLock; public class Counter { private int count = 0; private final Lock lock = new ReentrantLock(); public void increment() { lock.lock(); try { count++; } finally { lock.unlock(); // 항상 락을 해제해야 함 } } public int getCount() { lock.lock(); try { return count; } finally { lock.unlock(); } } }
 

ReadWriteLock

 
ReadWriteLock은 읽기와 쓰기 작업을 분리하여 동시성을 최적화하는 데 유용합니다. 다수의 스레드가 동시에 읽을 수 있지만, 쓸 때는 한 스레드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
 
import java.util.concurrent.locks.ReadWriteLock; import java.util.concurrent.locks.ReentrantReadWriteLock; public class Counter { private int count = 0; private final ReadWriteLock lock = new ReentrantReadWriteLock(); public void increment() { lock.writeLock().lock(); try { count++; } finally { lock.writeLock().unlock(); } } public int getCount() { lock.readLock().lock(); try { return count; } finally { lock.readLock().unlock(); } } }
 

Atomic Class

 
Atomic 클래스들은 원자적 연산을 제공합니다. 이 클래스들은 동기화 없이도 여러 스레드가 안전하게 값을 읽고 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tomicInteger를 사용하여 increment 연산을 원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import java.util.concurrent.atomic.AtomicInteger; public class Counter { private final AtomicInteger count = new AtomicInteger(0); public void increment() { count.incrementAndGet(); // 원자적 증가 } public int getCount() { return count.get(); // 안전하게 값을 읽음 } }
 

Semaphore

 
Semaphore는 제한된 수의 스레드가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어합니다.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최대 스레드 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import java.util.concurrent.Semaphore; public class SemaphoreExample { private final Semaphore semaphore = new Semaphore(3); // 최대 3개의 스레드만 접근 가능 public void accessResource()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semaphore.acquire(); try { // 자원에 접근 } finally { semaphore.release(); // 자원 해제 } } }

Reference

 
Nhn Academy - Thread
 
Share article

lushlife99